JavaScript
ES6의 화살표함수
김긍정
2020. 4. 10. 11:25
화살표함수는 let or const 둘 중에 보통 사용합니다.
const add = (a, b, c, d) => {
return a + b + c * d;
}
const kjs = add(1, 2, 2, 2);
console.log(kjs);
결과 값은 7
그리고 화살표 함수의 특징은 함수 내부{ }에서 return해서 값을 결과물로 내어주고 있는데,
이것을 더 짧게 작성할 수 있다. 반환하고 싶은 값을 함수 내부가 아니라 바로 받아줄 수 있다.
const add = (a, b, c, d) => a + b + c * d
const kjs = add(1, 2, 2, 2);
console.log(kjs);
이렇게요~!!
그리고 화살표함수로 만든 함수랑 function키워드로 만든 함수랑 주요 차이점이 있는데,
this라는 값이 서로 다른데, 이것은 다음에 다시 알아보도록 합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