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번에는 리액트에서 사용자가 입력 할 수 있는 input 태그의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.
우선, src e디렉터리에 lnputSample.js라는 파일을 생성하세요.
InputSample.js
import React from 'react';
function InputSample() {
return (
<div>
<input />
<button>초기화</button>
<div>
<b>값: </b>
</div>
</div>
);
}
export default InputSample;
그 다음에는, 이 컴포넌트를 App에서 렌더링하세요.
App.js
import React from 'react';
import InputSample from './InputSample';
function App() {
return (
<InputSample />
);
}
export default App;
input에 입력하는 값이하단에 나타나게 하고, 초기화 버튼을 누르면 input이 값이 비워지도록 구현을 해보겠습니다.
이번에도, useState를 사용합니다. 이번에는 input의 onChange라는 이벤트를 사용하는데요, 이벤트에 등록하는 함수에서는 이벤트 객체 e를 파라미터로 받아와서 사용 할 수 있는데 이 객체의 e.tarhet은 이벤트가 발생한 DOM인 input DOM을 가르키게 됩니다. 이 DOM의 value 값, 즉 e.tathet.value를 조회하면 현재 input에 입력한 값이 무엇인지 알 수 있습니다.
이 값을 useState를 통해서 관리 해주면 됩니다.
한번 코드를 다음과 같이 수정해보세요.
InputSample.js
import React, { useState } from "react";
function InputSample() {
const [text, setText] = useState("");
const onChange = e => {
setText(e.target.value);
};
const onReset = () => {
setText("");
};
return (
<div>
<input onChange={onChange} value={text} />
<button onClick={onReset}>초기화</button>
<div>
<b>값: {text}</b>
</div>
</div>
);
}
export default InputSample;
input의 상태를 관리할 때에는 input 태그의 value값도 설정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. 그렇게해야 상태가 바뀌었을 때 input의 내용도 업데이트 됩니다.
'Reac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useRef로 특정 DOM 선택하기 (0) | 2020.03.31 |
---|---|
여러개의 input 상태 관리하기 (0) | 2020.03.31 |
useState를 통해 컴포넌트에서 바뀌는 값 관리하기 (0) | 2020.03.30 |
조건부 렌더링 (0) | 2020.03.30 |
props를 통해 컴포넌트에게 값 전달하기 (0) | 2020.03.30 |